급성 간정맥 폐쇄증(Budd-Chiari Syndrome) : 간을 조용히 압박하는 치명적 혈관 장애
“간 수치가 조금 올랐다고 안심하셨나요?
간 속의 혈관이 막히면 며칠 만에 생명이 위태로워질 수 있습니다.”

---
1. 질환 개요
정의: 간에서 혈액을 빼내는 주요 통로인 간정맥(hepatic vein)이 혈전이나 협착으로 막히면서 간의 혈액 순환이 정체되고, 간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질환
유형:
급성형: 증상이 수 시간~수일 내에 빠르게 진행
만성형: 수개월~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
---
2. 원인
혈전 생성 요인
유전성 혈전성 질환(Protein C/S 결핍, 항트롬빈 결핍)
진성 적혈구 증가증, 골수증식성 질환
경구 피임약, 호르몬 치료
외부 압박
간 종양
복부 외상
기타: 감염, 전신성 염증질환
---
3. 증상
급성형
갑작스러운 극심한 우상복부 통증
복부 팽만(복수)
구토, 황달
전신 부종
만성형
간 비대
지속적인 피로감
경미한 황달
점진적인 복수 증가
---
4. 합병증
간경변
간부전
식도·위 정맥류 출혈
신부전
---
5. 진단
혈액검사: 간기능(AST, ALT, 빌리루빈), 응고 검사
복부 초음파(Doppler): 간정맥 혈류 확인
CT/MRI: 혈전 위치, 간 부종 평가
정맥조영술: 정확한 폐쇄 위치 파악
---
6. 치료 방법
🟢 약물 치료
항응고제(와파린, 헤파린)로 혈전 진행 억제
이뇨제: 복수 조절
🟢 시술·수술
혈전용해술: 카테터로 혈전에 약물 투여
TIPS(경정맥간문맥단락술): 간 내부에 새로운 혈류 경로 생성
간이식: 간부전으로 진행 시 최종 치료
---
7. 예후
조기 치료 시 5년 생존율 70% 이상
진단·치료 지연 시 수개월 내 사망 가능
재발 방지를 위해 장기 항응고제 복용 필요
---
8. 위험 자가 체크리스트 ✅
[ ] 원인 모를 복부 통증과 복수가 갑자기 생김
[ ] 경구 피임약 복용 중이며, 장시간 비행이나 탈수가 잦음
[ ] 진성 적혈구 증가증·골수 질환을 앓고 있음
[ ] 간 비대·황달이 함께 나타남
2개 이상 해당되면, 즉시 간 전문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
9. 결론
Budd-Chiari 증후군은 간 속의 혈관이 막히는 응급 상황입니다.
드물지만 치명적이므로, 위험 인자가 있는 사람은 사소한 복부 불편도 간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조기 진단이 곧 생명을 구하는 열쇠입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 속의 폭풍 —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의 경고음 (0) | 2025.08.10 |
---|---|
기질화 심낭염 — 심장을 조여오는 보이지 않는 족쇄 (0) | 2025.08.09 |
갑작스러운 하지 마비로 찾아오는 위기, '척수경색증(Spinal Cord Infarction)'의 모든 것 (0) | 2025.08.07 |
"왼쪽 가슴이 콕콕 아파요… 혹시 심근경색 전조일까요?" (0) | 2025.08.06 |
“계속 피곤하고 식욕도 없어요”… 혹시 췌장암 아닐까요? (0)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