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대장암 초기 징후와 검진 주기

by 우리의지식들 2025. 5. 24.
반응형

대장암 초기 징후와 검진 주기

구분 초기 징후 권장 검진 주기

배변 습관 변화 변비와 설사가 번갈아 발생, 배변 후 잔변감 지속 50세 이상 5년 간격, 고위험군(가족력·용종 병력) 40세부터 1~3년 간격
혈변 및 흑색변 선홍색 혈변이나 타르 같은 흑색변 출현 증상 발생 시 즉시 대장내시경 검사
복통 및 체중 감소 하복부 불편감, 원인 불명의 6개월간 5% 이상 체중 감소 연 1회 복용 검사, 고위험군은 매년 내시경 또는 CT 대장검사




---

대장암은 초기 증상이 미미해 다른 소화기 질환으로 오인되기 쉽지만, 조기 진단 시 완치율이 크게 높아집니다. 특히 서구화된 식습관, 앉아 있는 시간이 긴 생활 방식, 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대장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40대 이후 정기 검진이 권장됩니다.

1. 배변 습관 변화

대장암 초기에는 소화관 내 종양이 성장하며 정상적인 배변 패턴을 방해합니다.

변비·설사 반복: 종양이 장을 부분적으로 막아 일시적 변비를 유발하고, 이후 장 통과 압력으로 설사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잔변감: 배변 후에도 배변이 완료되지 않은 느낌이 지속됩니다.


검진 주기 및 조치

50세 이상 일반 성인은 5년마다 대장내시경

가족력·용종 병력 등 고위험군은 40세부터 1~3년마다 검진


실제 사례: 55세 김모씨

김모씨는 몇 달간 변비와 설사를 번갈아 겪으며 잔변감을 호소했습니다. 대장내시경 검진 결과 1cm 크기의 용종을 발견해 제거했으며, 이후 2년마다 내시경으로 경과를 관찰 중입니다.

2. 혈변 및 흑색변

장 출혈은 대장암의 중요 전조 증상입니다.

선홍색 혈변: 직장암의 경우 종양이 가까워 선홍색 피가 관찰됩니다.

흑색변(타르변): 상부 대장부위 출혈 시 혈액이 소화되어 검은색으로 배출됩니다.


검진 주기 및 조치

혈변 또는 흑색변 발생 시 즉시 내시경 검사 필요

검사 후 용종 제거 또는 조직검사로 종양 여부 확인


실제 사례: 48세 이모씨

이모씨는 선홍색 혈변을 경험하고 즉시 병원에 내원해 대장내시경을 받은 결과 초기 대장암이 진단되었습니다. 조직검사 후 조기 수술로 완치 판정을 받았습니다.

3. 복통 및 체중 감소

대장암 진행 시 종양 성장으로 복통과 체중 감소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복통: 대장 연동 운동 장애와 장폐색 전조증상으로 하복부 불편감 발생

체중 감소: 암세포의 대사 활성 증가와 식욕 저하로 인한 급격한 체중 감소


검진 주기 및 조치

연 1회 체중·증상 모니터링, 고위험군 매년 내시경 또는 CT 대장검사

복통 및 체중 감소 동반 시 즉시 전문의 상담 및 영상검사 권장


실제 사례: 62세 박모씨

박모씨는 최근 6개월간 7% 체중이 줄고 지속적 복통을 호소해 검사를 받았으며, 말기 전 단계의 종양이 발견되어 조기 수술로 성공적으로 제거했습니다.


결론

대장암은 초기에 증상이 불분명해 놓치기 쉽지만, 배변 습관 변화, 혈변, 복통 및 체중 감소 같은 전조 징후를 인지하고 정기 검진을 받으면 조기 발견이 가능합니다. 50세 이상은 5년 간격으로, 고위험군은 40세부터 1~3년 주기로 대장내시경을 실시해 건강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