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간염 (B형, C형, A형 등) 원인 치료

by 우리의지식들 2025. 6. 24.
반응형

간염 (B형, C형, A형 등) 원인 치료

■ 요약 정리 표


유형 전파 경로 만성화 여부 주요 합병증 치료법

A형 오염된 음식·물 경구 감염 드물게 만성화 급성 간염, 드물게 급성 간부전 예방접종, 위생 관리
B형 혈액·체액 접촉(성접촉, 수직감염 등) 5–10% (성인), 90% (신생아) 간경변, 간세포암종 항바이러스제(테노포비르, 엔테카비르)
C형 주사기 공유, 수혈·체액 접촉 75–85% 만성화 간경변, 간세포암종 직접작용항바이러스제(DAA) 조합치료
D형 B형간염 동시/중복 감염 B형 동시감염 시 만성화 간경변, 간암 위험 극대화 B형 치료 병행, 인터페론 고려
E형 오염된 물·식품 경구 감염 드물게 만성화 급성 간염, 면역저하자 중증 위생 관리, 임상 증상 완화 치료



---

서론 – 간염, 다양한 원인과 치료법을 알아야 합니다

간염은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바이러스성 간염(A, B, C, D, E형)을 비롯해 약물, 알코올, 자가면역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중에서도 A·B·C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높고, 만성화 시 간경변과 간암으로 진행하여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간염 유형의 전파 경로와 특징, 예방 및 치료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이러스성 간염 중 A·B·C·D·E형의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을 살펴보고, 예방접종, 항바이러스제, 직접작용항바이러스제(DAA) 등의 치료 전략을 소개하겠습니다.


---

본론

1. A형 간염

1-1. 전파 경로 및 역학

오염된 음식·물의 경구 감염이 주요 경로

위생 환경이 취약한 지역에서 집단 발생 위험


1-2. 임상 양상

급성 발열, 피로, 식욕 부진, 구역·구토, 황달 등

대개 2~6주 잠복기 후 증상 발현


1-3. 진단 및 예방

혈청 HAV-IgM 검사로 급성 감염 진단

예방접종(2회)으로 면역 획득

손씻기·식수 관리 등 개인 위생 준수


2. B형 간염

2-1. 전파 경로 및 만성화 위험

혈액, 체액, 수직감염(모자 수직) 및 성접촉 통해 전파

성인 5–10%, 신생아 90%가 만성화


2-2. 임상 특징

급성기: 무증상 또는 피로, 구역, 황달 등

만성기: 무증상 진행, 피검사에서 ALT 상승, HBsAg 양성 지속


2-3. 진단 및 치료

HBsAg, HBeAg, HBV DNA 수치 검사로 감염 및 전염성 평가

만성 B형 간염: 테노포비르, 엔테카비르 등 장기 항바이러스제 투여

간경변·간암 위험군은 정기적 초음파·AFP 모니터링


3. C형 간염

3-1. 전파 경로 및 만성화율

주로 주사기 공유, 수혈, 비위생적 시술 통해 전파

75–85%가 만성화, 무증상으로 잠복 기간 긴 편


3-2. 진단 및 최신 치료

혈청 anti-HCV, HCV RNA 검사로 감염 및 바이러스 활성 확인

직접작용항바이러스제(DAA) 조합치료(예: 소포스부비르+벤클라시비르)로 8–12주 치료 후 95% 이상 완치


4. D형 간염

4-1. 전파 및 중복 감염 특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에만 감염 가능

동시 중복 감염 시 중증 급성·만성 진행 위험 높음


4-2. 치료 방안

B형 간염 치료제 병행 투여

인터페론 알파 고려 (효과 제한적)


5. E형 간염

5-1. 전파 경로 및 임상

오염된 물·식품 경구 감염으로 주로 발생

일반적으로 일시적 급성기 형태, 면역저하자에서 만성화·중증화 위험


5-2. 관리 전략

위생 관리 강화, 오염 식품·물 피하기

대증요법(구역·구토, 탈수 교정)




결론 – 간염 예방과 치료, 체계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간염은 유형별 전파 경로와 만성화 위험이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과 예방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A형은 예방접종과 위생 관리, B·C형은 혈액·체액 접촉 차단과 항바이러스제·DAA 치료를 통해 만성화를 예방 및 완치할 수 있습니다. D형은 B형 치료를 병행하며, E형은 위생 강화를 통해 급성 감염을 방지해야 합니다.

정기 건강검진으로 간염 표지자 검사를 받고, 예방접종 및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간염으로부터 건강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반응형